티스토리 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당뇨병, 암, 치매를 부른다? 설탕의 경고! 에 대해 알아보자! 입니다. 자~ 그럼!! 요리천국의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건강, 음식, 생활과학, 실생활경제를 포함 각 가지 생활정보 등의 정보를 전문연사를 통해 정확한 지식을 제공하는 정통교양정보 프로그램이다.
당뇨병, 암, 치매를 부른다? 설탕의 경고!
◆ 기획 의도 :
설탕과의 전쟁이 시작됐다. 영국에서 설탕세 도입이 이슈화된데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년초 식약처의 공식 발표 후 설탕과의 전면전이 선포된 상황! 그도 그럴것이 한국인, 하루 섭취하고 있는 평균 설탕의 양 약 61.4g! 우리가 평소 먹는 설탕의 양은 WHO 권고량보다 무려 2배 이상! 평소 먹는 음식과 과자, 주스에도 다량의 설탕이 들어있어 알게 모르게 많이 먹게 되기 때문인데... 다량의 설탕 섭취는 비만, 당뇨, 암, 치매까지! 광범위한 질환의 주범으로 꼽히는 만큼, 설탕 섭취를 줄이는 대책이 시급하다. 나도 자각하지 못하는 설탕중독 증상부터 대체 얼마나 많은 설탕을 먹고 있고, 어떻게 줄여야 할지.. 건강한 당분 섭취법의 모든 것, 자세히 알아본다.
# 내 몸 망치는 설탕 중독
세계보건기구 WHO는 당분 섭취를 하루 소비 열량의 10% 이하, 즉 50g 이하로 권고하고 있음. 국민영양조사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의 34%에서, 특히 청소년은 약 46%가 이 기준을 초과하고 있다고 함. 최근 영국의 설탕세 도입, 미국의 소다세 도입, 프랑스의 당류저감 정책 등 전세계적으로 당류 저감정책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
Q. 단 음식 많이 먹으면 당뇨병 걸린다?
당분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혈당을 낮추기 위해 몸에서 인슐린 다량 분비, 저혈당 상태에 빠지는데 이를 이겨내기 위해 다시 당분을 섭취하면 다시 고혈당 상태가 되며 악순환 반복. 지속될 경우 인슐린 내성이 생겨 당뇨병 위험이 높아짐
Q. 암세포가 설탕을 좋아한다?
과도한 당 섭취로 비만, 당뇨병 위험 증가 => 암 발생 위험 증가
Q. 설탕 많이 먹으면 치매 빨리 온다?
신체에 쌓인 당분이 비만 유발 => 인슐린 저항성 증가 => 뇌기능 저하
설탕 중독으로 우울증 위험 증가 => 치매 발생 위험 2~3배 증가
Q. 고혈압, 동맥경화에 소금보다 설탕이 더 치명적이다?
하루 소비 열량의 10%가 넘는 당분 섭취 시 비만 39%, 고혈압 66%, 당뇨병 44% 발생 위험 증가. 하루 섭취 열량의 25%이상을 당분으로 섭취 시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 약 2.7배 증가
Q. 단거 먹으면 뼈도 삭는다?
설탕이 많이 함유된 음식이나 음료를 먹으면 포만감이 느껴지지 않아 과도한 열량을 섭취하면서 비만, 지방간, 동맥경화 유발. 또한 열량은 높지만 영양소가 부족해 골다공증, 면역력저하 , 불면증 초래
# 여름철 대표 고당분 식품 속 설탕 함유량
- 커피
원두커피0g < 커피믹스 7g < 커피우유 14g < 캔커피 20g
- 콜라 & 사이다
콜라 1캔 당류 함량 = 27g, 각설탕 9개
사이다 1캔 당류 함량 = 각설탕 7개
- 오렌지주스
오렌지주스 1잔(200ml) 당류 함량 15~24g = 각설탕 5~8개
세계보건기구 1일 당분 섭취 권고량의 약 36%
- 아이스크림 & 팥빙수
아이스크림 평균 당류 함량 18.5g = 각설탕 6개
팥빙수 당류 함량 27~51g = 각설탕 9개~17개
# 나도 혹시? 설탕중독 자가진단표
1. 신맛 나는 과일보다 단맛 나는 과일이 좋다.
2. 스트레스 받으면 초콜릿, 케이크가 당긴다.
3. 원두커피보다 달달한 믹스커피가 좋다.
4. 배고프지 않은데, 뭔가 늘 먹고 싶다.
5. 손닿는 곳에 과자, 초콜릿이 항상 있다.
6. 배가 불러도 달콤한 디저트를 찾는다.
7. 늘 다이어트를 하지만 효과 없다.
=> 3개 이상이면 설탕중독 의심 / 4,5,6번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 설탕중독성 더욱 심각
# 설탕 대체 감미료 오해와 진실
Q. 색이 진한 설탕일수록 영양가가 높다?
설탕의 색은 열에 의한 무기물 결합에 의해 달라짐. 향과 맛 차이 외에 영양학적 차이 거의 없음
Q. 액상과당이란?
음료수에 많이 첨가된 액상과당은 설탕보다 체내 흡수 빠르고, 지방으로 전환 잘됨.
=> 중성지방, 요산, 유해활성산소 생성하여 다양한 질환 유발
# 대표적 대체감미료의 특징
- 올리고당
설탕에 비해 단맛이 적고 칼로리 낮음. 식이섬유 풍부하여 장 건강에 도움
- 매실청
매실의 구연산 등이 함유되어 피로해소, 소화에 도움
- 꿀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소 함유. 설탕보다 혈당을 천천히 올림
- 아가베시럽 & 메이플시럽
당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어 섭취 제한 필요.
특히 아가베 시럽은 90%가 당으로 이루어져 과도한 섭취 시 건강에 해로움
# 건강한 단맛 즐기는 법
[ST시연1/ 양파당 만들기]
[재료] : 양파 4개, 배 2/1개 (배즙 1/2컵), 소금 1/2작은술, 물 1컵
[만드는 법] :
1. 양파를 6등분 해서 결 반대방향으로 얇게 썰어준다.
2. 약한 불에서 양파를 볶다가 배즙과 물을 조금 씩 넣어 가면서 볶아준다.
* 양파를 갈지 않아도 서서히 졸여주면 형태가 없어진다.
* 양파를 결 반대 방향으로 썰어주어야 입자가 곱게 된다.
* 양파를 갈색이 나도록 볶으면서 수분이 없어질 때 배즙과 물을 조금씩 넣어준다.
[ST시연2/ 천연당 가루 만들기]
[재료] : 바나나 2개, 파인애플 1통, 사과 2개
[만드는 법] :
1. 바나나, 파인애플, 사과를 얇게 썰어 건조기에 말려준다.
2. 말린 과일을 각각 분쇄기에 곱게 빻아준다.
* 완전히 건조 후에 분쇄해서 냉동이나 냉장 보관한다.
[ST시연3/ 당 함량 줄인 매실청 담그기]
[재료] : 매실 1.5kg, 황설탕 1kg, 올리고당 2/3컵(올리고당 대신 작년에 담근 매실청 2/3컵을 넣어도 됨)
[만드는 법] :
1. 매실은 크기가 크고 상처가 없는 것을 구입해서 꼭지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준다.
2. 매실 물기를 닦은 후 하루정도 완전히 건조한다.
3. 용기를 끓는 물로 소독한 후 완전히 건조시킨다. (건조 후 드라이어로 한 번 더 건조해도 좋다.)
4. 병에 매실을 담고 올리고당, 소금을 넣고 을 넣고, 설탕 500g을 넣어준다.
5. 5일 후 쯤 설탕이 녹기 시작하면 나머지 설탕의 절반(250g)정도 넣어주고, 10일 후 쯤 나머지 설탕(250g)을 넣어준다. (5일 후, 10일 후 준비)
7. 100쯤 지난 후 에 매실을 걸러서 따로 보관한다.
* 매실 꼭지는 이쑤시개를 이용해서 따면 좋다.
* 매실을 씻을 때 껍질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조심한다.
* 공기가 통하면서 초파리가 생기지 않도록 밀봉한다,(면보와 고무줄 사용)
* 설탕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보관 장소가 중요하다.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 에어컨 실외기 옆 등 온도가 높은 곳 피하기)
Q. 양념 넣는 순서를 바꾸면 설탕을 줄일 수 있다?
설탕>소금>식초>장류 순서로 간을 하면 설탕을 덜 넣고도 단맛을 낼 수 있음.. 분자량이 작은 간장을 먼저 넣으면 분자량이 큰 설탕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서 음식이 짜지고 재료의 수분이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
당뇨병, 암, 치매를 부른다? 설탕의 경고!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당뇨병, 암, 치매를 부른다? 설탕의 경고! 에 대해 알아보자! 이었습니다. 이렇게 좋은 정보를 알려주시는 KBS 1TV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제작진 여러분에게 감사 인사드립니다.